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이더리움인 게시물 표시

[세상 속으로-이민화 KCERN 이사장·KAIST 교수]블록체인 혁명의 걸림돌, 정책과 제도

[ 세상 속으로 - 이민화 KCERN 이사장 ·KAIST 교수 ] 블록체인 혁명의 걸림돌 , 정책과 제도 초융합의 4 차 산업혁명은 기술보다 제도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 제도를 만드는 정책 당국의 기술에 대한 이해가 국가경쟁력의 필수 요소라는 의미다 . 그런데 불행히도 한국은 기술이 번 것을 제도가 까먹고 있다 . 한국의 인터넷 1.0 을 추락시킨 제도의 걸림돌이 다시 인터넷 2.0 이라는 블록체인에서 반복되고 있다 . 최근 불거진 암호 화폐 거래소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 한국의 기술경쟁력은 세계 10 위권이다 . 제조업과 특허 등록은 전 세계 톱 5 이고 반도체 , 조선 , 디스플레이 등은 세계 1,2 위를 다투고 있다 . 공통된 특징은 제도의 영향력이 적은 기술주도 분야라는 점이다 . 한국의 제도경쟁력은 평가기관에 따라 다르나 대략 아프리카 평균 수준인 70 위권으로 평가된다 . 국내 서비스업 , 규제 경쟁력 , 특허활용 등 제도가 주도하는 분야 대부분은 OECD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기술에선 선진국이나 정책이나 제도에선 후진국이라는 것이 한국의 민낯이다 . 한강의 기적에 이은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인터넷 1.0 과 함께 다가왔다가 규제로 인해 추락한 과정을 복기해보자 . 벤처기업협회 등 민간이 주도한 1 차 벤처붐을 통해 한국은 일본에 앞서 일약 IT 강국으로 부상하게 됐다 . 2000 년 한국의 벤처는 질과 양에서 세계 최고에 도달했고 , 이스라엘과 중국이 벤치마킹해 갔다 . 하지만 2001 년 전 세계 닷컴버블이 꺼지면서 미국의 나스닥 , 유럽의 노이어 마켓과 동일한 형태로 코스닥이 붕괴하게 되자 정부는 코스닥과 코스피 통합과 같은 4 대 벤처 건전화정책의 칼을 빼 들면서 한국의 벤처빙하기가 시작됐다 . 만약 정부의 과도한 규제가 없었다면 벤처의 매출액은 현재 300 조의 두 배는 넘어서 국가 성장과 일자리를 견인하고 있을 것이다 . 그렇다면...

"블록체인이 관료시스템 허물 것"

정보 투명하게 분산 관리…중앙정부 권력 약해질 것 http://yhy868700.com/241 "블록체인이 관료제 시스템을 무너뜨리고, 블록체인을 도입한 나라는 20년 뒤엔 가장 부유해진다. 중앙정부는 힘을 잃고 도시·지방정부가 글로벌 파워로 떠오른다. 가상화폐 공개(ICO)를 금지한 한국은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19일 막을 내린 제18회 세계지식포럼에서 실리콘밸리 투자 구루인 팀 드레이퍼 DFJ 회장은 블록체인이 향후 20년 내 세상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라며 파격적인 예측을 쏟아냈다. 그는 화폐제도뿐 아니라 각종 법규를 프로그램화해 분산저장하는 기술인 블록체인이 관료 시스템을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공서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을 통해 민원을 직접 해결할 수 있어서다. 그는 "2040년이 되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일본·에스토니아 같은 국가가 가장 부유해질 것"이라며 "모든 정보가 분산돼 투명하게 관리되면 효율성이 늘어나고 관료제를 대체하면서 정부 재정지출도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드레이퍼 회장은 블록체인으로 인해 중앙정부의 힘이 약해지고 지방정부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진다는 전망도 내놨다. 그는 "블록체인으로 중앙에 집중돼 있던 정부 권력은 약화될 것"이라며 "대신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인 도시나 지방에서 나온 혁신은 순식간에 글로벌 영향력을 갖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보다는 실리콘밸리가, 중국보다는 선전이라는 혁신지역이 더 힘을 갖는 시대가 온다는 얘기다. 그는 "이 과정에서 (혁신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국가라는 틀 안에 갇히지 않고) 진정으로 글로벌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드레이퍼 회장은 한국이 지난달 29일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공개를 전면 금지한 것에 대해서는 강한 톤으로 비판했다. 그는 "한국은 글로벌 정부 경쟁에서 뒤처지고 싶은 것인가"라면서 ...

블록체인 비트코인 P2P 방식과 자료

<블록체인 비트코인 P2P 방식과 자료> http://yhy868700.com/240 P2P (peer-to-peer network) 혹은  동등 계층간 통신망 (同等階層間通信網)은 비교적 소수의 서버에 집중하기보다는 망구성에 참여하는 기계들의 계산과  대역폭  성능에 의존하여 구성되는  통신망 이다. P2P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노드 들을 규모가 큰  애드혹 으로 서로 연결하는 경우 이용된다. 이런 통신망은 여러 가지로 쓸모가 있는데, 오디오나 비디오, 데이터 등 임의의 디지털 형식 파일의 공유는 매우 보편적이다. 또한, 인터넷 전화( VoIP )같은 실시간 데이터 등도 P2P 기술을 통해 서로 전달될 수 있다. 순수 P2P 파일 전송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나  서버 란 개념 없이, 오로지 동등한 계층 노드들(peer nodes)이 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역할을 동시에 네트워크 위에서 하게 된다. 이 네트워크 구성 모델은 보통 중앙 서버를 통하는 통신 형태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는 구별된다.  FTP  서버야 말로 P2P 파일 전송 형식이 아닌, 대표적 반례로 꼽을 수 있다. 어떤 사용자가 FTP 서버에 어떤 파일을 올리면 다른 사용자들이 내려 받는데, 올리는 쪽과 내려받는 쪽 모두 동시에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냅스터 ,  오픈냅 ,  IRC   @find ) 등과 같은 네트워크과 채널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검색 등과 같은 일부 기능에 쓰고, 다른 기능은 P2P 구조를 쓴다.  누텔라 나  프리넷  같은 네트워크는 모든 기능에 P2P 구조를 가지는데, 비록 그 네트워크가 다른 같은 계층의 사용자들(peers)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려 주는 데 디렉터리(directory) 서버에 크게 의존하긴 하지만, 때때로 진정한 P2P 네트워크으로 인용된다. P2P 네트워크 구조는 최근에 인터넷 상에서 멀티...